모의 해킹/네트워크 해킹

[해킹 실습] Hunt 툴을 이용한 TCP 세션 하이재킹 및 보안 조치 방법

양말이집사 2022. 6. 26. 23:20

이론 참고

https://ge-syeong.tistory.com/6?category=775861

 

[해킹 이론] TCP 세션 하이재킹

관련이론 - 세션 하이재킹(Session HiJacking) : 사용자와 컴퓨터, 또는 두 컴퓨터간의 활성화된 상태인 세션을 가로채어 공격자가 모든 작업을 감시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공격 기법 - TCP 세션

ge-syeong.tistory.com

 

이번 실습에서는 Hunt 툴을 이용하여 Telnet TCP 세션하이재킹을 실습해 볼 것이다.

 

 Hunt 툴 의 주요 특징

   가. 연결 관리

  • 관심있는 접속 설정
  • 자신의 시스템에 접속하려면 연결 탐지
  • ACK Storm 탐지를 통한 능동적인 세션 하이재킹
  • ARP 스푸핑 탐지
  • 하이재킹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동기화
  • 접속의 리셋 및 감시

나. DEMON

  • 자동 접속 리셋을 위한 리셋 데몬
  • ARP 스푸퍼와 ARP 스푸핑을 위한 릴레이 데몬
  • MAC 주소 수집을 위한 MAC 탐색 데몬
  • TCP 트래픽에서 특정 문자열을 탐색할 수 있는 스니퍼 데몬

모의 해킹 실습 환경 구축

   실습 환경 : Net Network

   공격자(Kali) : 192.168.62.128

   클라이언트(Window10) : 192.168.62.129

   서버(CentOS) : 192.168.62.130

   

  공격 절차

    (1)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 중인 상태 구성

       CentOS 텔넷 서버 구성

(Telnet 설치 및 활성화)

      클라이언트와 서버 연결

서버의 ip로 텔넷(23번 포트) 접속 후 새 계정 생성(admin)

      공격자 Hunt 툴 설치 및 세션 탐지

      세션 끊기

RST 패킷을 보내 세션을 끊는다.
세션이 끊긴 서버의 모습

      도청

W 옵션을 통해 도청 실시
(좌) 클라이언트의 화면 : 여러가지 값을 입력하고 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우) : 공격자의 화면 :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값들이 실시간으로 캡쳐 

 

 

TCP 세션하이재킹 보안 대책

1. 비동기화 상태 탐지 : 서버와 시퀀스 넘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비동기화 상태에 빠지는지 확인한다.

2. ACK Storm 탐지 : ACK 패킷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면 ACK Strom에 빠졌을 확률이 높다.

3. 패킷의 유실과 재전송 증가 탐지 : 공격자가 중간에 끼어서 동작을 하므로 패킷의 유실과 재전송이 발생하여 서버와의 응답시간이 길어진다.

4. 예상치못한 접속의 리셋 : 세션을 빼앗기거나 빼앗기지 않더라도 공격이 실패할 경우 세션이 멈추거나 리셋된다.

LIST